트루맨 지식인
* 하이닥 API 연동이 2022년 2월 23일부로 지원 되지 않아 최신 트루맨 지식인 업로드가 안되는 점 안내드립니다.
질문 상담의 날짜
클라미디아 남자(답답합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Chlamydia trachomatis는 가장 흔한 성매개 감염(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의 원인균입니다.

남성의 50% 이상은 무증상이며 가벼운 배뇨통, 요도 소양감, 부고환염을 일으킬 수 있고,

여성의 경우 70-80%는 무증상이며 자궁 경부염, 골반 염증성 질환, 자궁외 임신, 불임, 신생아 감염(산모의 경우)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클라미디아는 성적인 접촉 및 성관계나 구강 성교 등으로 90% 이상 전파 가능한 균주입니다.
다만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긴 하나, 비위생적인 청결이나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남자 요도염증상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요도염 진단을 위한 PCR 검사를 받으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대개 치료가 잘 되고 완치 검사를 받으신다면, 재발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재감염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검사 결과 잘 확인하시고, 여자친구분께서도 꼭 산부인과 내원하여 검사 및 상담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남자 요도염증상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요도염 진단을 위한 PCR 검사를 받으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대개 치료가 잘 되고 완치 검사를 받으신다면, 재발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재감염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검사 결과 잘 확인하시고, 여자친구분께서도 꼭 산부인과 내원하여 검사 및 상담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남성 PCR검사 결과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Mycoplasma hominis는 비뇨생식기에 주로 존재하며, 비임균성 요도염, 급성 신우신염, 산후열, 자궁내막염, 자궁 경관염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증상이 있을 수도 있으며, 무증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Gardnerella vaginalis는 가임기 여성의 질내 정상 상재균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여성의 세균성 질염과 연관성이 있고 남녀의 요로기계 감염, 여성의 생식기계 감염에도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궁 내막, 태아, 신생아에서 증식하여 모체와 태아의 화농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본 균이 검출되는 것이 반드시 병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증상이 있는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Ureaplasma parvum은 비뇨생식기계 점막에 기생하는 세균으로서 요도염, 화농성 관절염, 유산 및 조산, 융모양막염, 수술 부위 감염, 신생아 뇌수막염, 골반염 질환, 신우신염, 기타 신생아 감염병의 원인균입니다.

조산아의 대다수와 정상 신생아의 20% 가량에서 본균이 검출되나, 합병증이 없는 경우 출생 3개월 내에 균 수가 감소합니다.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유레아플라즈마 파붐의 경우 비임균성 요도염으로서 공생균으로 간주하며,성관계로 전파될 수 있는 균주입니다.

가드넬라의 경우 세균성 질염균의 일종입니다.

일단 진단을 받으셨다면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여자친구 분께서도 꼭 산부인과 검사 및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남성 PCR검사 결과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Mycoplasma hominis는 비뇨생식기에 주로 존재하며, 비임균성 요도염, 급성 신우신염, 산후열, 자궁내막염, 자궁 경관염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증상이 있을 수도 있으며, 무증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Gardnerella vaginalis는 가임기 여성의 질내 정상 상재균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여성의 세균성 질염과 연관성이 있고 남녀의 요로기계 감염, 여성의 생식기계 감염에도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궁 내막, 태아, 신생아에서 증식하여 모체와 태아의 화농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본 균이 검출되는 것이 반드시 병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증상이 있는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Ureaplasma parvum은 비뇨생식기계 점막에 기생하는 세균으로서 요도염, 화농성 관절염, 유산 및 조산, 융모양막염, 수술 부위 감염, 신생아 뇌수막염, 골반염 질환, 신우신염, 기타 신생아 감염병의 원인균입니다.

조산아의 대다수와 정상 신생아의 20% 가량에서 본균이 검출되나, 합병증이 없는 경우 출생 3개월 내에 균 수가 감소합니다.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유레아플라즈마 파붐의 경우 비임균성 요도염으로서 공생균으로 간주하며,성관계로 전파될 수 있는 균주입니다.

가드넬라의 경우 세균성 질염균의 일종입니다.

일단 진단을 받으셨다면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여자친구 분께서도 꼭 산부인과 검사 및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버지 전립선 조직검사 결과에 문의드려 봅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정확한 결과를 몰라 자세한 답변은 어렵습니다.
다만 암의 전단계 등의 조직검사 결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결과를 확인하시고, 필요 시 PSA 의 추적 관찰 및 6개월 1년 사이에 추가적인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버지 전립선 조직검사 결과에 문의드려 봅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정확한 결과를 몰라 자세한 답변은 어렵습니다.
다만 암의 전단계 등의 조직검사 결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결과를 확인하시고, 필요 시 PSA 의 추적 관찰 및 6개월 1년 사이에 추가적인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액검사 질문입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정계정맥류 소실이 확실하시다면, 정액검사를 추가로 무조건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정자 수 및 정자의 활동성의 변화 확인을 원하신다면 정액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액검사 질문입니다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정계정맥류 소실이 확실하시다면, 정액검사를 추가로 무조건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정자 수 및 정자의 활동성의 변화 확인을 원하신다면 정액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요도염 관련해소 궁금 한게 있는데요.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일반 소변검사로는 진단이 불가능합니다.
PCR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요도염 관련해소 궁금 한게 있는데요.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일반 소변검사로는 진단이 불가능합니다.
PCR 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갑자기 이런게 생겼어요,, 유석선 2017-10-13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유석선 입니다.

일차적으로는 염증성 피부염 등으로 사료되나, 사진만으로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필요 시 소독 및 연고 도포 등의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불편하시더라도 꼭 가까운 비뇨기과 내원하여 환부 진료 후에 적절한 상담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온라인
서류발급
전화상담 전화상담 카톡상담 오시는길 고객만족센터
▲TOP